8월 27, 2023의 게시물 표시

트위터 X가 9월말부터 생체정보와 학력, 직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약관 변경

이미지
 트위터가 X로 변했죠. 그럼에도 여전히 트위터로 부르는 사람이 더 많아요. 전 트위터 잘 쓰지 않지만 여전히 트위터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 분들에게 안 좋은 소식이 들리네요. X 사용자의 학력, 직장,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약관 변경 https://twitter.com/ko/privacy#x-privacy-1  X가 8월 31일 약관을 일부 개정했습니다. 이 약관은 9월 29일부터 실행됩니다. 이 약관 변경에 꽤 중요한 변경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새 개인정보취급방침 조항 1.1에는 사용자가 당사에 제공하는 정보 중에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체 정보라고 함은 지문이나 안구 등등 우리가 스마트폰을 잠금 해제할 때 사용하는 정보를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생체 정보를 수집하겠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우리가 생체 정보를 사용하는 대부분 내 신분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데 그게 바로 지문과 안구 패턴입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제조사도 아니고 일개 SNS업체가 가져간다? 좀 무리수가 아닐까 하네요. 생체 정보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건 내 스마트폰에 저장된 생체정보 권한을 이용할 뿐이지 데이터를 가져가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X의 새로운 약관에서는 이걸 수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집? 이 단어가 중요합니다. 내 생체정보를 X의 서버에서 가져간다는 소리죠.  이거 큰일 날 짓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이에 대해서 X는 '안전 및 보안 확보 및 신원 확인'이라는 원론적인 말을 하는데 그걸 왜 가져가는지 모르겠네요. 내 신원 정보는 스마트폰에서만 저장되어져야지 누가 가져가면 안 됩니다. 가져간 내 생체 및 신원 정보를 해킹 당하면 이거 누가 책임질 건데요.  이외에도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에 직업, 학력, 희망, 기술 및 능력 및 구직 활동에 대한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니 이걸 왜 수집한데요. 직장 소개 해주는 것도 아닌데요. 이 문제에 대해서도 X는 고용주와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해서 직장 소개를 해주

AI 인기로 ai 도메인을 가진 앵귈라가 연간 수백억 원의 수익을 올리다

이미지
AI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AI 인기에 아무 것도 안하고 매년 수백억 원을 보는 곳이 있다고 하네요.  .ai 도메인을 가진 영국령 앵귈라 개꿀 저도 워드프레스 운영하면서 도메인을 뭘로 할까 고민 중에 있습니다. net이나 com은 비싸고 co.kr은 쌉니다. 카페 24가 도메인 비용이 가장 비싼데 net이나. com은 1년에 2만 4천원 정도로 꽤 비쌉니다. 저렴한 것도 있는데 pe.kr 같은 도메인이죠. 그리고 .ai라는 도메인도 있더라고요.  잠시동안 .ai로 해볼까 했습니다만 AI 관련 블로그를 운영할 것이 아니라서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가 강제로 이름을 바꾼 트위터가 X로 변하면서 X.AI 도메인을 구매하기도 했죠. 그런데 이 ai 도메인을 가진 나라는 카리브해에 있는 영국령 앵귈라라는 섬입니다.  유명한 ai 도메인은 꽤 있죠. 이미지생성 AI인 스테이블 디퓨전을 개발하고 있는 스테이블의  stability.ai나 일론 머스크의 AI기업 xAI의 x.ai 도메인 등이 ai 도메인을 쓰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ai 도메인을 구매할 ai 기업들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이 도메인은 그 나라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이걸 보통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인 ccTLD인데 몇몇 ccTLD는 수익을 목적으로 거주지 제한을 철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도메인들이 풀려서 전세계에서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앵귈라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메인 등록이 2020년에 1433만 787동 카리브 달러로 한화로 70억 정도였고 2021년에는 1999만 3620동 카리브 달러로 한화로 97억원, 2023년에는 2229만 8435동 카리브 달러로 108억원의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앉아서 매년 수백억 원을 버는 나라네요. 이 ai 도메인의 인기는 지난 1년간 2배로 늘 정도로 인기가 높아졌다고 하네요. 

구글 블로그 글은 네이버와 구글 검색에 언제 색인이 될까?

이미지
고난의 길인 걸 알았지만 그럼에도 예상한 것보다 더 심하네요. 구글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사용하다가 넘어오면 짜증이 툭툭 나옵니다. 먼저 에디터가 너무 조악합니다. 특히 이미지 편집 기능은 아예 없고 이미지 하나 올리는데 사진 크기를 일일이 조정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워드프레스처럼 플로그인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온통 수동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마치 2000년대 초 블로그 서비스 느낌까지 나네요. 구글은 왜 서비스에 대한 변경이나 변화를 하지 않을까요? 구글도 구글 블로그(블로그 스팟)을 손 놓은 것 같기도 합니다. 공지 사항을 보면 2020년이 끝입니다. 아니 구글 코리아가 인수한 테터툴즈는 어따 버렸나 모르겠네요. 구글 코리아는 카카오처럼 소비자와 사용자와 소통을 하지 않은 기업이죠. 뭐 네이버도 마찬가지이니 한국의 대형 IT는 고객과의 소통을 단절한지 오래 되었습니다. 네이버가 다음이 카카오가 구글코리아가 유저들과의 간담회 같은 거 하는 거 보셨어요. 없어요. 이제는 우리가 알아서 할텐니까 고객 니들은 따라오던가 말던가 하고 니가 떠나봐야 갈 곳이 있냐 그냥 있어라라는 태도입니다.  그럼에도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서 이 구닥다리 쓰레기같은 구글 블로그 에디터도 적응하면 또 적응이 됩니다.  구글 블로그를 네이버와 구글 검색엔진에 등록한지 2개월 2023년 6월 말 티스토리 자체광고 사태가 터지면서 구글 블로그를 팠습니다. 7월 초에 팠으니 대략 2개월이 되어가네요. 구글 블로그에 정착할지 아닐지는 모르겠지만 구글 애드센스 고시도 통과하고 용량 제한이 있긴 하지만 15GB(G메일, 구글 드라이브 포함)도 넉넉한 편이고 용량이 모자르면 월 3천원도 안 되는 돈을 내면 100GB까지 더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서버가 미국에 있는 걸 쓰는 건지 너무 느려요. 로딩 속도가 느리고 느립니다. SEO 점수가 높을 수가 없죠. 그럼에도 구글 블로거들이 늘어나는지 네이버 검색에서 구글 블로그 주소가 많이 보이기 시작하네요. 언젠가는 티

유튜브 정책위반 경고 받더라도 교육 받으면 패널티가 경감되는 선택지 도입

이미지
어떤 행위를 유도하려면 채찍질만 하면 안 됩니다. 그럼 시스템을 벗어날 수 있고 포기할 수 있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영화 리뷰 유튜브 숏츠를 만들었는데 영화 영상을 사용했다면서 바로 수익 금지를 때리더라고요.  그래서 얼마 벌지도 못하는 거 유튜브에 영상 올리는 걸 거의 손 놓고 있습니다.  이런 사람이 저 뿐일까요? 영화 영상을 사용해도 리뷰 목적이라면 수익 포기하더라도 올려도 되는 줄 알았죠. 수 많은 영화 리뷰들은 뭔데요. 따질 곳도 없고 따지기도 귀찮고 해서 유튜브 영상 제작 거의 안 하고 있습니다. 전 경고를 주고 주의하라고 한 후 수익 창출 정지할 줄 알았는데 한 방에 바이든하네요.  이런 이해 못하는 유튜브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이 약간의 변화를 하네요.  90일간 3회 경고 후 채널 정지 대신 교육 받으면 패널티를 줄여준다 유튜브는 90일간 3번의 정책 위반 경고를 받으면 채널은 정지됩니다. 그러나 이게 과도했는지 요즘 유튜브가 예전만 못하다고 판단했는지 2023년 8월 29일부터 경고를 받았을 때 교육 과정을 수강하면 경고 패널티가 가벼워지는 선택지를 하나 추가했습니다.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라인'은 삼진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그게 2019년 9월입니다. 스팸 및 속임수, 자극적인 콘텐츠, 위험하거나 폭력적인 콘텐츠, 가짜 뉴스 등을 게시하면 경고를 먹습니다. 1~2회까지는 채널이 삭제되지 않지만 90일 안에 3번이 누적되면 계정이 정지됩니다.  경고는 그냥 너! 경고가 아닌 어떤 행동이 위반인지 자세히 담깁니다. 유튜브는 경고를 받은 유튜버들의 80%는 다시 정책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다만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이 매번 갱신이 되고 그때는 맞지만 지금은 틀린 경우도 있기에 항상 가이드를 숙지하고나 인지할 수 없습니다. 또한 90일 동안 2회 위반 경고를 받으면 동영상 게시물을 2주 동안 올릴 수 없습니다.  이 2주는 저 같이 큰 수익이 없는 유튜브 채널은 별 영향이 없지만 하루에 100달러 이상 들어

풀프 미러리스 소니 A7C와 소니 A7C II 비교

이미지
소니가 갑자기 2개의 카메라를 선보였습니다. 그 카메라는 소니 A7C Mark2, 소니 A7C R입니다. 두 제품은 거의 동일한 스펙과 외형이지만 소니 A7C R은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입니다. 이로서 소니 A7C 3총사가 되었네요.  소니 A7C vs 소니 A7C II 비교 소니 A7C는 2020년 9월 출시되었고 후속기인 소니 A7C II는 3년 후인 2023년 8월에 공개되었고 10월에 출시 예정입니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A7C가 240만원대에 출시되었으니 아마도 그 가격대에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소니 A7C는 현재 바디만 180만원대에 팔리고 있습니다.  소니 A7C 주요 사양  2400만화소 - 풀 프레임 BSI-CMOS 센서 ISO 100 - 51200(50 - 204800으로 확장) 소니 E 마운트 센서 이동 이미지 안정화 3.00인치 스위블 터치LCD 2360k 도트 전자식 뷰파인더 10.0fps 연속 촬영 4K(UHD) - 3840 x 2160 비디오 해상도 120fps 고속 비디오 내장 무선 509g.  124x71x60mm 소니 A7C II 주요 사양  33MP - 풀 프레임 BSI-CMOS 센서 앤티앨리어싱(AA) 필터 없음 ISO 100 - 51200(50 - 204800으로 확장) 소니 E 마운트 센서 이동 이미지 안정화 3.00인치 스위블 터치LCD 2360k 도트 전자식 뷰파인더 10.0fps 연속 촬영 4K(UHD) - 3840 x 2160 비디오 해상도 120fps 고속 비디오 내장 무선 514g.  124x71x63mm 흠 후속 기종이라고 하기에는 눈이 뛰는 성능 변화가 안 보이네요. 있긴 있습니다. 최신 영상처리엔진을 사용해서 리얼타임 AF가 가능한데 개, 고양이, 기차, 새, 비행기, 자동차 인식이 가능한데 이게 뭐 엄청 좋은 기능이 아니라서요. 개, 고양이, 인물 인식이면 되거든요. 물론 인물 인식능력 특히 몸까지 인식하는 AI 프로세서는 좋긴 하지만 딱히 뭐 매력적이지는 않아요.  크기도 디자인도 크게

카카오뷰가 망한 간단한 이유는 카카오의 무능

이미지
망하는데는 국내 탑 클라스인 카카오는 서비스 종료의 달인입니다. 먼저 다음을 인수한 후 수많은 다음 서비스를 종료했죠. 다음 키즈, 다음 영화, 마이피플, 다음tv팟, 다음 클라우드 등등의 다음 서비스를 종료합니다.  그리고 다음에서 이름을 바꾼 카카오 지도 같은 서비스는 시장점유율 1위였던 서비스를 말아 먹고 3위로 하락시킵니다. 그리고 많은 카카오 서비스가 선보였지만 대부분 망했습니다. 망한줄도 모르죠. 나온지도 모르는 서비스가 많았으니까요. 그래서 카카오 서비스는 가장 큰 단점이 종료입니다.  카카오 서비스의 최대 문제점은 서비스 종료 카카오뷰는 2021년 여름에 선보인 카카오뷰는 큐레이션 서비스였습니다. 콘텐츠 생산자가 아닌 좋은 콘텐츠를 발굴해서 소개하면 놀랍게도 수익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2008년 경에 나온 다음 블로거 뉴스의 2021년 버전이었습니다.  다음 블로거 뉴스는 블로거들이 올린 글 중에 좋은 글을 먼저 발견하고 소개하면 그 큐레이션을 한 분들에게 약간의 수익을 제공하는 서비스였습니다. 그래서 저도 블로그 글을 쓰면서 좋은 글에 추천 눌러주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런데 이런 추천 서비스들은 결정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어뷰징이라는 추천 품앗이와 추천 품질 저하입니다. 아시겠지만 블로그 하단의 좋아요 숫자가 높다고 그 글이 좋은 글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돈 주고 좋아요를 사는 프로그램도 많고 못된 블로거들이 많아요. 실제로 제가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 이웃 분 중에는 글 올라온 지 10분 만에 좋아요가 100개가 넘어요. 참 그걸보면서 저렇게 까지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저렇게 어뷰징을 해도 걸러내지 못하고 좋아요 숫자를 바탕으로 검색 상위 노출을 해주는 네이버가 더 문제라고 생각 되어 지네요.  네이버의 추천 알고리즘이 얼마나 개판인지 보려면 네이버 포스트 랭킹 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수년 전에 새벽에 음란물이 올라왔는데 아침까지 방치하더라고요. 이러니 네이버 검색이 저질이라고 하죠.  다음 블로거 뉴스가 망

키보드와 터치패드가 통합된 모키보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

이미지
사무실이 아닌 외부에서 문서 작성이나 블로그 작업을 할 경우가 꽤 많은 분들은 작고 얇은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죠. 그보다 더 작은 태블릿을 들고 다니는 분들도 많지만 태블릿은 블루투스 키보드를 연결해서 사용하기 편한데 문제는 마우스입니다. 마우스를 따로 들고 다녀야 합니다.  노트북은 터치패드가 있지만 태블릿은 없죠. 태블릿은 없어도 되긴 합니다. 그냥 태블릿을 터치해서 작업하면 되니까요. 그럼에도 속도를 내려면 키보드에서 해결하면 참 좋습니다. 키보드 작업하다가 화면 터치하고 다시 키보드 작업하면 짜증만 늘어갑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한 제품이 바로 모키보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입니다.  키보드 + 터치패드 = 모키보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 모키보(mokibo)의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는 수년 전에도 전시회장에서 봤어요. 그런데 소개한 적이 없어서 이번에 소개합니다. 최근에 본 KITAS 2023에서 다시 만나서 반가웠네요.  모키보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는 키브도와 거치대가 섞여 있는 제품으로 아이패드용이 따로 있고 안드로이드 태블릿 및 스마트폰용이 따로 있습니다. 외형은 블루투스 키보드이지만  키보드의 대부분을 터치패드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평상시에는 키보드로 활용하다가 손으로 터치를 하면 쓰르륵 터치패드로 변합니다. 이게 가능한 것은 키보드 아래에 숨겨진 정밀 센서가 터치인지 키 입력인지 구분해서 자동으로 터치패드가 작동합니다.  터치 영역도 줄였다가 늘렸다가 할 수 있고 왼손 모드 터치 영역과 오른손 모드 터치 영역을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한 왼손은 입력을 오른손 영역만 터치로 활용하다가 왼손까지 터치영역으로 하고 싶으면 쓱 이동하면 터치패드 구간이 늘어납니다.  그럼에도 우클릭이나 좌클릭을 키보드로 하고 싶으면 하단 붉은 키를 눌러서 우클릭, 좌클릭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 제스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퓨전키보드 유니버셜 2세대 두 손가락, 세 손가락을 활용하는 멀티 제스처도 가능합니다. 다양한 기능을 보다 빠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