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 2023의 게시물 표시

포털 서비스도 검색 서비스도 폭망하는 다음 이러다 사업 접을듯

이미지
반면 다음은 진보 분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좌음이라고 하는 극우들이 많은데 좌음은 욕이 아닌 칭찬입니다. 좌익 포털 다음은 제 정치 성향과 딱 맞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세대는 40,50대로 지금의 20대 보다 진보적입니다. 요즘 옷 입고 다니는 거 보세요. X세대 보다 점잖아요. 사회가 보수화 되다 보니 20대들이 상당히 보수적입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40~50대 진보층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고 이들이 핵심 세력입니다.  카카오 인수 후 꾸준히 망해가는 포털 다음과 다음 검색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 한 후 다음의 다양하고 많은 서비스를 종료했습니다. 그럼에도 포털 다음이나 다음 검색은 종료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이 불가능할 것 같은 일이 실현될 것 같다는 생각이 요즘 듭니다. 차라리 실현되길 간곡하게 바라기도 하고요. 그래서 구글이나 다음 검색을 사용하고 있는 네이트가 인수해서 키웠으며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포털 다음이 얼마나 사용자기 이탈하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9년 월 방문자 수가 2917만 명이었는데 2023년 현재 2029 명으로 약 1000만 명 정도가 이탈하고 있습니다. 무려 4년 만에 월 방문자 수가 3분의 1토막이 났네요. 이렇게 추락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카카오가 개판으로 운영하기 때문이죠.  먼저 포털 다음에 조선일보 출신의 부사장이 낙하산으로 내려간 후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라는 보수 언론과 SBS 뉴스를 더 많이 내보낸다는 지적이 많았고 이를 MBC 스트레이트가 보도했습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이탈을 했다가 최근에는 댓글 서비스를 버블톡이라는 새로운 댓글 시스템으로 변경했습니다. 이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이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점 재미가 사라졌습니다. 1분이라는 스낵컬처 서비스를 선보였다가 이게 폭망하자 이상한 것들을 많이 들어다 놓는데 다 망했습니다. 카카오TV도 망했고요. 그냥 폐가가 되어가는 느낌이네요.  이런 흐름 속에서 카카오는 포털 다음을 사내 자회사

PS5 게임을 원격으로 할 수 있는 플레이스테이션 포털과 무선이어폰, 헤드셋 발표

이미지
플레이스테이션이 2023년 5월 PS5 게임을 원격 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젝트 Q가 플레이스테이션  포털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네요. 가격부터 말씀드리면 2만 998엔으로 약 20만원 정도 하네요.  PS5를 원격으로 게임할 수 있는 프로젝트Q 외형만 보면 닌텐도 스위치나 PSP라고 지금은 거의 보이지 않는 휴대용 플레이스테이션 같이 생겼습니다. 그러나 PSP나 닌텐도 스위치처럼 저 가운데 있는 게 게임기가 아닙니다. 그냥 디스플레이입니다. 게임은 PS5에서 실행하고 그걸 저 작은 디스플레이에 WIFI로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서 클라우드 게임기 같은 단말기 역할만 합니다.  그럼 언제 사용하냐? 거실에서 대형 TV와 연결해서 PS5를 사용하다가 다른 식구가 TV를 보고 싶다고 하면 조용히 내방에 들어가서 플레이스테이션 포털을 꺼내서 PS5에서 실행한 게임을 하면 됩니다. 독특한 아이디어죠.  PS5의 듀얼센스 무선 컨트롤러의 어댑티브 트리거나 햅틱 피드백 기능이 있고 디스플레이 크기는 태블릿 크기의 8인치로 해상도는 1080P에 60fps를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PS5를 하는 이유가 대형 TV와 연결해서 거실에서 하는 재미인데 이걸 조막만한 디스플레이로 한다고요. 게임 중독자 아니면 저렇게 해야 할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방에서는 모바일 게임이 낫죠. 하기야 PS5 샀다는 자체가 게임 매니아라는 소리겠네요.  가운데 디스플레이가 있고 양쪽에 듀얼 센서 무선 컨트롤러가 달려 있습니다. 2023년 내 발매 예정입니다.  PULSE Explore 무선 이어폰 PULSE Explore 무선 이어폰 은 고품질의 음향을 체험할 수 있는 플레이스테이션 최초의 무선 이어폰입니다. 내장 듀얼 마이크는 AI 기술로 배경 소음을 필터링해서 노이즈 감소 기능도 들어가 있습니다.  또한 무손실 오디오에도 대응하고 있고 충전용 케이스도 제공됩니다.  PULSE Explore 무선 이어폰은 부가페 포함 2만 9980엔으로 발매일이나 예약일은 나중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P

카메라 렌즈 살 때 뒤를 꼭 확인해라

이미지
카메라는 카메라 바디에 렌즈를 결착해서 사용합니다. 물론 라이카Q 시리즈나 캐논 하이엔드 카메라인 파워샷 시리즈나 소니 ZV-1 시리즈같이 렌즈와 바디가 결합이 되어 있는 렌즈 일체형 카메라도 있지만 DSLR과 미러리스는 렌즈 교환형 카메라로 렌즈와 바디를 결착해서 사용합니다. 다양한 렌즈를 사용하면서 렌즈 일체형 카메라에 비해서 더 표현력이 좋습니다.   물론 렌즈를 여러개 구입하다 보면 많은 돈이 나가게 됩니다. 특히 바디 보다 렌즈 구매할 때 돈이 확 확 나가기에 렌즈의 세상에 빠지면 기둥 뿌리 뽑아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꼭 필요한 렌즈만 사는 것이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일상, 풍경, 거리 사진을 주로 찍기에 단초점렌즈나 광각 렌즈를 좋아합니다. 물론 줌렌즈도 있는데 줌렌즈는 너무 크고 무서워서 잘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카메라 렌즈 구매할 때 뒤를 봐야 하는 이유 렌즈를 제거한 풀프레임 미러리스 라이카 SL2입니다. 거대한 이미지센서가 보이네요. 저 정도로 둥근 서클 안에 있어야 풀프레임이고 이보다 작은 APS-C 사이즈 이미지센서는 크롭 센서라고 합니다. 당연히 이미지센서가 클수록 화질이 좋으니 비싸도 풀프레임을 사려고 하죠. 다만, 사진작가도 아니고 취미로만 한다면 크롭 미러리스로도 사진 취미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이 바디의 렌즈 연결부를 마운트라고 하는데 마운트를 보면 은빛의 금속으로 되어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수 많은 렌즈를 연결하고 분리해야 해서 내구성을 위해서라도 금속을 사용합니다. 상단에는 하얀 점이 가지런히 있는데 이는 통신핀으로 렌즈와 바디의 정보를 서로 교류하고 렌즈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 전력도 넣어줍니다. 렌즈는 여러가지 형태와 크기와 무기를 가졌지만 후면은 렌즈의 둥근 구멍에 맞춰야 하기에 후면 크기는 동일합니다. 위 렌즈는 니콘 Z마운트 40mm f2.0 단렌즈입니다. 저렴한 렌즈입니다. 후면을 보히면 시커멓죠. 마운트 연결부가 플라스틱입니다. 원가 절감을 위해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네요. 플

구글이 앱 구동 속도를 30% 가속화하는 안드로이드 런타임 업데이트 발표

이미지
안드로이드폰이 안 팔리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너무 느려요. AP 성능이 애플 아이폰의 AP보다 떨어지다 보니 청소년들은 게임을 하려고 안드로이드폰이 아닌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0년 전만 해도 게임폰은 안드로이드폰이고 퀄컴의 AP 성능이 막강했습니다. 그러나 애플이 뛰어난 AP 설계자를 모시고 Bionic AP 시리즈를 선보이면서 안드로이드폰은 폭망했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S시리즈가 안 팔리는 이유의 70%는 퀄컴 때문이기도 하죠. 그나마 최근에는 퀄컴의 AP 성능이 꽤 올라왔지만 여전히 애플 바이오닉 AP가 좋습니다. 이뿐이 아니죠. AP 성능이 앞설 때도 안드로이드폰은 앱 구동이 느렸습니다. 최적화가 안된건지 기술력이 딸리는 건지 참 느리고 버벅였죠. 그런면에서 구글도 참 안드로이드 O/S 못 만드네요.  앱 시작 시간 30%를 줄이는 안드로이드 런타임 업데이트 구글이 2023년 8월 21일 안드로이드 런타임(ART) 업데이트를 통해서 앱 시작 시간과 실행 속도를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ART가 O/S와 독립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되면서 이전 안드로이드가 설치된 스마트폰에서도 앱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RT는 안드로이드 O/S 상에서 앱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으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 사용되는 언어인 자바나 코틀린을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는 쉽게 말하면 번역하고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12에서 ART를 공식적으로 모듈화하여 시스템 업데이트로 O/S 전체를 통으로 업데이트 하지 않아도 ART 단독으로 플레이스토어를 통해서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앱의 기동 시간과 실행속도, 메모리 사용량 개선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보안 수정도 가속회 됩니다. 이번 발표에서 구글은 안드로이드13 ART 업데이트로 런타임과 컴파일러가 최적화되었으며 일부 기기에서 실제 앱 실행이 최대 30%가 향상되었다고 하네요.

캐논은 렌즈 로드맵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인터뷰에서 밝힘

이미지
캐논은 RF 렌즈 프로토콜을 공개하지 않아서 서드파티 렌즈 제조를 허락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 폐쇄적인 운영은 캐논 카메라에 캐논 렌즈만 사용하게 해서 렌즈 판매 수익을 올리기 위함입니다. 이게 캐논 카메라를 선택하는데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EF렌즈를 어댑터에 연결하면 사용할 수 있기에 큰 불만이 없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EF 렌즈 사용하려면 어댑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죠. RF렌즈는 크기가 작고 가벼운데 EF는 크고 무겁습니다.  2023년 상하이에서 사진 산업 박람회인 2023 Photo & imaging 2023이 개최되었습니다. 한국은 수십년 만에 처음으로 사진영상기자재전이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상하이 2023 Photo & imaging에서 캐논이 한 인터뷰 캐논은 중국 언론 앞에서 인터뷰를 했습니다. 중국 시장이 크다 보니 립 서비스 겸 다양한 정보를 풀어주었네요. 이중에서 캐논의 렌즈 로드맵을 공개하겠냐는 겁니다. 현재 몇몇 렌즈 제조사는 렌즈 개발 및 발표 계획인 로드맵을 발표하지만 어떤 곳은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  캐논은 고객은 향후 어떤 렌즈가 나올지 알 수 없게 하겠다고 했습니다. 즉 로드맵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하네요. 그 이유는 고객을 깜짝 놀라게 하고 싶다고 하네요. 어이가 없는 소리에요. 어떤 고객이 깜짝 놀라고 싶어해요 지금 캐논은 캐논 크롭 미러리스인 캐논 R10, R50, R100의 핵심 렌즈인 RF-S 22mm f2.0 단렌즈가 나와야 합니다.이게 얼마나 중요한 렌즈인데 R10 나온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 아직도 안 나오고 있네요.  캐논은 이런 변명을 합니다. 로드맵을 발표하면 그 계획대로 렌즈를 내놓아야 합니다.  그러나 로드맵을 발표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렌즈를 귀담아 듣고 가장 요구량이 많은 렌즈를 먼저 만드는 것이 가장 고객에게 좋은 결과라고 하네요. 일리는 있네요. 그런데 왜 RF-S 22mm f2.0 안 내놓습니까? 캐논은 인터뷰에서 RF-S 렌즈가 너무 적다는 말을

구글블로그 1달 운영하면서 느낀 장점과 단점

이미지
수 많은 사람들이 구글 블로그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저도 티스토리를 떠날 준비를 하면서 새로운 개척지 1호로 구글 블로그를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1달 동안 느낀 점은 장점도 있지만 단점이 더 많아서 더 운영해야 할까 고민을 하게 되네요.  이 블로그는 현재 애드센스 고시를 3주 만에 통과해서 광고를 붙일 수 있습니다만 수익은 거의 없습니다. 이유는 이 블로그가 애드 고시는 통과했지만 네이버와 구글이라는 두개의 거대한 유입처에서 이 블로그 글을 제대로 노출 시키지도 색인도 안 해주고 있네요.  그럼 지난 한 달 아니 정확하게는 7월 초부터 시작했으니 1달 20일 정도 되었네요.  구글 블로그가 좋은 점 1. 구글 관련 서비스에 등록하기 편하다 구글 서비스이다 보니 구글 애드센스 연동, 구글 서치콘솔, 애널리틱스 사용이 편리합니다.  그리고 없습니다.  구글 블로그가 안 좋은 점 1. 무제한이 아닌 유한 업로드 용량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나 네이버처럼 무제한 업로드가 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업로드 용량 제한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15GB입니다. 15GB는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용량입니다. 참고로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운영한 티스토리 블로그 전체 백업 용량이 54GB입니다. 따라서 한 3년 이상 꾸준히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용량이 차면 100GB를 월 2,400원에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포토와 연동 사용이 가능하고 구글 픽셀폰 사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용량 제한이 있습니다. 이 변화는 2021년 6월 구글 포토가 무제한 서비스를 중단한 이후 발생한 일입니다. 이건 큰 문제가 아닙니다. 월 2,400원은 싼 가격이니까요. 그러나 서버가 외국에 있어서인지 엄청나게 느립니다. 엄청 느려요.  속도 측정해보면 그 저질 서버인 티스토리보다 느립니다.  2. 다양한 테마(스킨)을 입힐 수 있으나 각종 에러가 발생한다 구글 블로그 기본 스킨 말고 다양한 반응형 스킨을 무료로 제공해주는 곳들이 있습니다. 거기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