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9, 2023의 게시물 표시

왜 티스토리는 자체광고를 통해서 티스토리를 망하게 만드는가?

이미지
 제가 이 구글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버리고 이곳에 새로운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솔직히 구글 블로그는 정말 불편한 에디터에 지금 이글을 쓰면서도 분노 게이지가 일정 수준 차 있네요. 어떻게 이런 에디터를 운영하는지 모르겠어요.  익숙해지면 낫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너무 불편합니다. 그렇다고 구글이 에디터 개선을 해줄 것 같지도 않습니다. 여기도 구글이 언제 서비스 종료 할지도 모르니까요. 그래서 일단 간만 보고 있습니다. 언제 여기도 아니다 싶으면 튀어야죠.  길게 생각하면 2차 도메인을 만들고 웹호스팅을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 때가 되면 티스토리에 올린 글 중에 좋은 글만 챙겨서 나와야겠습니다. 다만 지금은 죽음의 계곡 단계입니다.  왜 티스토리는 자체광고를 통해서 티스토리를 망하게 만드는가? 티스토리는 국내 10위 안에 드는 트래픽 지수가 높은 도메인입니다. 한 때 5위 안에 들기도 했지만 카카오의 헛발질의 연속으로 현재는 9위입니다. 아마도 내년이 되면 티스토리 탈출사태와 함께  네이버 검색에서 노출이 중단되면 100위 권 이하로 하락할 겁니다.  티스토리가 인기 있는 이유는 높은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소리 때문이죠. 실제로 꽤 버는 분들도 많고 저도 용돈 이상의 벌이를 할 수 있었습니다만 엄청난 돈을 버는 건 아니였습니다.  그럼에도 글 쓰는 것을 좋아하고 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도 주고 광고 수익을 올릴 수도 있어서 무려 16년 간 운영을 했습니다. 글이라는 것이 쓰면 쓸수록 늘어서 지금은 글이 술술 나옵니다. 물론 읽히는 글이냐 아니냐는 따져야겠지만 최소한 나무위키 같은 딱딱한 글은 안 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글을 원하면 챗GPT 대답 듣는 게 낫죠. 이런 내용의 글을 챗GPT가 쓸 수 없을 겁니다. 챗GPT는 경험이 없는 지식체니까요.  전 경험이 있고 인간이고요.  그런데 이 티스토리가 망해가고 있습니다. 그것도 날짜도 명확합니다. 2023년 6월 27일 오전 11시부터 티스토리

장마철 폭우에 내 주변 하천 수위를 알 수 있는 한강홍수통제소 웹사이트

이미지
비가 너무 내리네요. 비가 내려도 적당히 내려야지 너무 많이 내리면 비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비가 얼마나 많이 올지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면 좋습니다.  기상청 기상레이더로 여름철 집중호우 미리 예측하는 방법 라는 글을 통해서 기상레이더를 활용해서 집중 호우 예측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번에는 내린 비가 강물로 모여서 강이 범람하는 걸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비가 내려서 침수되는 피해도 피해지만 작년 포항 냉천 범람을 봤듯이 하천 범람은 더 많은 피해를 줍니다.  그래서 하천변에 사는 분들은 큰 비가 오면 불안스럽기만 합니다. 그렇다고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능동적이고 초동 대응을 잘 하느냐? 아닙니다. 작년에 안양천의 지류인 한 하천이 범람하는데 지자체 공무원이 차수막을 닫고 퇴근 하던가 대비를 해야 하는데 그냥 방치하고 퇴근해서 근처 아파트가 침수 피해를 받았습니다. 이에 아파트 주민들은 행정소송을 했죠.  정부건 지자체건 절대적으로 믿으면 안 됩니다. 내가 스스로 대비해야죠.  그래서 내가 사는 하천 수위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하겠습니다.  한강홍수통제소 웹사이트에서 알려주는 실시간 전국 하천 수위 구글 검색창에 '한강홍수통제소'로 입력하면  http://www.hrfco.go.kr/main.do 가 나옵니다.  한강 홍수 통제소라고 하지만 전국 하천 수위를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한강홍수통제소는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먼저 전국 강수량입니다. 보시면 붉은색이 강우가 내리는 곳이고 연두색이 약한 비가 내리는 곳입니다. 지금 충청도와 서울에 집중호우가 많이 내리고 있네요.  심지어 기상레이더 정보까지 보여주네요. 확대하면 좀 깨지긴 하지만 실시간으로 비구름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네요.  CCTV 메뉴를 누르면 현재 하천 풍경과 수위를 볼 수 있습니다. 집 근처 안양천 중간에 오금교가 있는데 지금 하천변 산책로 바로 아래까지 물이 찼네요. 보면 잠시 범람해서 하천 산책로가 물에

줌 전역에서 하프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는 소니 FE 70-200mm F4 Macro G OSS II

이미지
소니는 렌즈 아주 잘 만듭니다. 문제는 렌즈를 너무 느리게 내놓습니다. 종류도 많지 않고요. 그래서 소니는 풀프레임 미러리스 시장을 개척할 때 부족한 렌즈군을 메우기 위해서 서드파티 업체들에게 렌즈 프로토콜을 공개합니다.  그래서 삼양, 탐론, 시그마 같은 한국과 일본 렌즈 전문 제조사들의 렌즈가 대거 나옵니다. 특히 삼양의 소니 렌즈는 가격도 저렴하고 성능도 좋은 가성비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런 결정은 어쩔 수 없는 결정입니다. 캐논처럼 EF DSLR 렌즈가 많은 것도 아니니까요. 반면 캐논은 EF 렌즈가 많아서 캐논 자체 렌즈로 모든 화각을 커버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신감 때문인가요. 캐논은 풀프 미러리스 시스템인 EOS R 시스템에서는 서드파티 렌즈 제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수년 전에 삼양이 RF 렌즈 하나 출시했다가 캐논에게 지적 받고 철수 했습니다.  소니는 G마스터 렌즈가 럭셔리 고급 렌즈입니다. 성능은 아주 좋고 비쌉니다.  소니 FE 70-200mm F4 Macro G OSS II 출시 소니는 E마운트 줌렌즈인 소니 FE 70-200mm F4 Macro G OSS II를 7월 28일 발매할 예정입니다. 외모만 봐도 엄청 비쌀 것처럼 보이는데 일본에서 25만엔 전후 한국에서는 240만원 정도로 나올 것 같네요.  화각이 70~200mm이니 풍경 빼고 인물, 야생동물, 특히 인물 촬영용으로 많이 사용하면 좋을 화각입니다. 이 화각대의 전작이 있는데 2014년에 발매한 소니 FE 70-200mm F4 G OSS입니다. 달라진 점이 있죠. 소니 FE 70-200mm F4 Macro G OSS II에는 매크로라는 단어가 들어갔습니다. 즉 이 렌즈는 접사 촬영이 가능합니다.  전작에 비해서 소형 경량화 되었는데 AF가 더 빠르고 정확해졌으며 15% 더 가볍고 길이도 15% 더 짧아졌습니다. 또한 텔레 컨버터도 지원합니다.  초점은 4개의 XD 고추력 선형 모터를 그룹당 2개를 구동해서 2개의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초점 그룹을 이용해서 최강의 A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발하고 있는 도심 전기 항공기 OPPAV

이미지
2023 국토교통 기술대전은 다양한 교통 관련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중에서 흥미로운 기술들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미래형 자율 비행이 가능한 UAM인 OPPAV 전기로 작동하면 다 미래라고 합니다. 좀 이상한 소리입니다. 전기 배터리로 달리는 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먼저 나왔을 정도로 오래되고 초단순한 기술입니다. 배터리에 전기 담고 그 전기로 모터 돌려서 달리는 건데 무슨 대단한 기술이 필요하겠습니까. 오히려 내연 기관 제조술이 더 놀랍죠.  이보다 더 놀라운 건 항공기 엔진입니다. 자동차는 엔진 고장나면서 길가에 세워도 되지만 항공기 엔진 고장나거나 멈추면 사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뢰성이 더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 항공기를 전기 배터리로 돌리려는 작업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것도 무인 또는 유인이지만 자동 비행이 가능한 개인형 수직 이착륙기 개발을 위해서 전 세계가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걸 UAM이라고 하는데 Urban AIR Mobility의 약자입니다.  쿼드로터의 드론의 큰 형태로 보여집니다. OPPAV는 UAM 관련 기술로 원격 조종·자율 비행 또는 조종사가 탑승하여 운행할 수 있는 유무인 겸용 개인 항공기라고 하네요. UAM인데 자율 주행, 수동 비행, 무인 비행이 가능한 다양한 운전 기술이 들어간 기체네요.  Optionally Piloted Personal Air Vehicle의 약자가 OPPAV입니다. 한국어로는 오파브라고 합니다.  OPPAV는 테스트 작업 중에 있는 쿼드롭터 개인 항공기로 전 세계에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4개의 프로펠터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오파브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산업통상부와 국토교통부과 R&D 프로젝트로 2023년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첫 테스트 비행을 했다고 하네요. 오파브는 1인승으로 항속 거리는 60km, 최고 속도는 240km이며 동력은 전기 배터리입니다. 날개는 7.6m로 최대 100kg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100kg 넘어가는 사람은 타기 어

후지필름 이미징 사업부를 먹여 살리는 1등 공신 인스탁스 즉석 카메라

이미지
즉석 카메라의 대명사인 폴라로이드는 망했습니다. 지금은 체코의 한 기업이 인수해서 사업을 계속 이어가고 있지만 큰 인기를 끌지 못합니다. 그러나 후지필름은 인스탁스는 다릅니다. 폴라로이드가 쓰러질 때도 코닥이 쓰러질 때도 후지필름은 필름 사업을 꾸준히 했고 지금도 하고 있습니다.  후지필름은 후지필름 디지털 카메라 사업부가 있고 인스탁스 즉석 카메라 사업부가 따로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후지 일렉트로닉 이미징 코리아가 후지 디카를 만들고 후지필름 사업부가 인스탁스 즉석 카메라를 만듭니다. 일본에서는 이 인스탁스 카메라를 체키라고 하더라고요.  후지필름 인스탁스가 이미징 사업 매출의 65%를 차지 후지필름 인스탁스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 인스탁스 즉석 인화 카메라는 90년대 후반에 등장해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합니다. 디카가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더더욱 인기가 떨어졌죠.  그럼에도 매년 100만 대 이상 판매하던 실적이 2000년대 초반에는 100만 대까지 하락합니다. 이 위기를 구원한 것이 K드라마입니다. 2007년 한국 드라마에서 인스탁스 카메라가 나오면서 한국과 아시아에서 20,30대 여성 분들이 저건 뭐야? 라면서 인스탁스 카메라를 참 많이 샀고 저도 광화문에서 촬영하고 있는데 저에게 인스탁스 카메라 전해주면서 찍어 달라고 해서 촬영해 준 적이 있습니다.  이후에 후지필름은 다양한 디지털 기능을 넣고 사진 공유 기능과 사진 촬영 후에 필요한 사진만 출력하거나 원격 촬영,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출력하는 프린팅 기능을 넣은 다양한 인스탁스 카메라를 넣기 시작한 후 대박이 납니다.  인스탁스 카메라는 2017년부터 판매량이 늘어났는데 이유는 정방형 스퀘어 필름 카메라들이 인기를 끕니다. 정방형하면 대충 아시겠죠. 네 인스타그램 갬성과 사진 비율의 즉석 인화 사진이 인기를 끌면서 2022년 까지 판매량이 무려 6배나 늘었습니다. 2023년 올해도 연간 30%가 증가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네요.  인스탁스는 주로 여자들이 좋아하죠. 그런데 2021년

브이로그 카메라 캐논 V10의 장점과 단점

이미지
 백종원 카메라라고 하는 여전히 방송사에서 현역으로 뛰고 있는 캐논 오디션캠 빅시아는 단종된 카메라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뛰어난 휴대성과 어디에서 쉽게 거치하고 촬영할 수 있는 삼각대가 부착된 동영상 카메라였습니다.  백종원에 손에 들고 다니다가 식당 식탁 위에 탁 올려 놓고 촬영하기 딱 좋았죠. 모니터가 전면으로 돌려져 있어서 촬영이 잘되는지 화면이 잘 나오는지 화각 체크도 실시간으로 가능해서 엄청나게 인기가 높았지만 방송국 놈들만 좋아하는 카메라라서 그런지 단종 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경부터 유튜버가 뜨기 시작하고 브이로그가 뜨면서 이 캐논 빅시아를 찾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그렇게 중고 시장에서 정가보다 비싸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빅시아 후속기라고 하는 캐논 파워샷 V10 주요 스펙 캐논이 빅시아의 후속 제품으로 캐논 파워샷 V10을 최근 선보였고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캐논 V10 주요 스펙을 보면  1인치 CMOS 이미지센서 디지털 3배줌 2인치 틸트 업 LCD 터치 디스플레이 배터리 일체형 1520만 화소 사진 촬영 가능 4K 30fps 까지 지원 마이크 2개 단자 무게 211g 내장 ND필터 C-LOG 미지원 동영상 컬러 필터와 룩 제공 캐논 V10의 장점 바로 장점 들어갑니다. 캐논 빅시아 오디션캠은 큰 마이크가 2개 들어갔습니다. 오디오 녹음 품질이 아주 아주 좋습니다. 브이로그 카메라로 액션캠을 사용하는 분들이 꽤 있는데 액션캠은 방수가 기본이라서 마이크 성능고 수음이 좋지 못합니다.  이 캐논 V10은 액션캠이 아닌 동영상 카메라로 방수 기능이 없지만 대신 오디오 성능이 좋습니다.  두번 째 장점은 빅시아처럼 거치대가 달려 있어서 어디든 거치할 수 있습니다. 아주 편리하죠. 거꾸로 거치할 수도 있습니다. 줄에 걸어서 놓을 수도 있고요. 녹화 버튼도 튼실하게 전면에 있고 녹화도 빠르게 됩니다. 틸트업 LCD라서 모니터링 하면서 촬영도 가능합니다. 세로 형태라서 스마트폰처럼 쥐고 촬영하기 좋습니다.

방음과 전기를 모두 잡는 양면형 태양광 방음벽 기술

이미지
지난 주에는 흥미로운 전시회를 코엑스에서 참 많이 했습니다. A,B홀 전시회를 보고 3층 D홀에서 열리는 <국토교통 기술대전 2023>을 봤습니다. 아! 장소 소개를 안 했네요. 코엑스입니다.  제가 테그 관련 기술 전시회를 빠짐없이 보려고 합니다. 기술 진화를 보고 있으면 우리가 앞으로 전진하고 있구나라는 느낌을 받아서 좋아합니다. <국토교통 기술대전>은 올해 처음 봤습니다. 교통 관련 기술 전시회로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전시회로 알고 있습니다.  국토 개발을 하려면 교통이 필수죠. 최근 양주 고속도로 이슈도 국토교통부의 무능에서 시작된 이슈이기도 하죠. 그만큼 내집 앞으로 전철이나 고속도로나 도로가 개설되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기에 국토와 교통을 섞었나 봅니다. 어떻게 보면 가장 끝발 있는 부처 중 하나가 아닐까 하네요.  양면형 태양광 방음벽 기술 코레일은 한국의 철도 산업을 대표하는 공기업입니다. 많은 기술을 선도하는 공기업이지만 여러가지 문제도 많은 기업이죠. 대표적인 것이 SRT와 코레일과의 관계입니다. 그냥 같은 기업 같은데 분리해서 경쟁 한다 어쩌고 하더만 SRT 선에 코레일 열차가 들어가서 비상 승객을 운송하는 등등 내부에 참 문제가 많아 보입니다.  그건 알아서들 하시고 제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기술은 방음 기술입니다. 기찻길 옆에 살다 보니 매일 같이 열차 소음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소음 방지나 저감 기술은 20년 아니 50년 전이나 지금이나 꼴랑 방음벽 그것도 방음 효과도 거의 없는 것 달아 놓고 끝이더라고요.  이 코레일 부스에서 흥미로운 기술을 봤습니다.  저비용 친환경 전력 생산을 할 수 있는 '양면형 태양광 방음벽' 기술이라고 하네요. 방음이라는 단어에 동공이 커졌습니다. 코레일이 드디어 방음에 대한 신경을 쓰는구나 했네요. 그런데 이 기술은 방음 기술력을 높인 것은 아니고 방음 기술과 태양광 전력 생산 기술을 섞은 기술이더라고요.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