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4, 2023의 게시물 표시

구글 바드가 내 블로그나 웹 사이트를 학습하지 못하게 하는 옵션 발표

이미지
 좀 괘씸합니다. 구글 바드나 챗GPT나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는 다양한 웹 사이트와 블로그 정보를 보고 학습을 합니다. 그 학습한 내용을 가지고 답변을 하죠. 문제는 이렇게 허락도 없이 웹 사이트나 블로그 내용을 보고 학습을 하게 되면 블로그나 웹 사이트 운영자는 피해를 받습니다.  우리가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공짜로 볼 수 있는 이유는 광고 때문입니다. 구글 애드센스나 네이버 애드포스트 같은 광고 수익이 있기에 양질의 콘텐츠를 정보를 올릴 수 있습니다. 아무 수익이 없는데 블로그 운영할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그런데 챗GPT나 구글 바드나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는 허락도 없이 남의 웹 사이트나 블로그 정보를 무단으로 긁어가서 학습해서 2차 콘텐츠를 만듭니다. 이에 많은 웹사이트 운영자와 블로거들이 화가 나 있습니다.  구글 바드나 Vertex AI가 내 웹사이트 블로그 내용을 보고 학습하지 못하게 하는 옵션 구글은 구글 바드와 기계학습플랫폼인 Vertex AI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모델의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웹 페이지, 블로그 포스팅으로 기계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걸 무단으로 허락도 없이 마구 사용했는데 많은 비난이 들끓자  생성형 AI가 학습을 못하게 하는 옵션을 공개했습니다.  2023년 9월 28일 구글 블로그에는 구글의 부사장인 '다니엘 로만'이 우리는 AI 원칙에 따라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서 생성형 AI가 학습을 못하게 하는 옵션을 공개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웹사이트 운영자로부터 생성형 AI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해요. 구글이 웹 사이트 운영자들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올리려면 수 많은 웹 사이트와 블로그가 있어야 합니다. 이들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블로그 웹사이트와 구글 애드센스는 공생관계이니까요.  이에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검색 엔진 크롤러가 내 웹사이트, 블로그를 방문해서 색인을 하는 것을 허락

무게 249g의 전방향 장애 감지가 가능한 소형 드론 DJI 미니4 프로 출시

이미지
DJI는 몇 안 되는 중국의 세계적인 드론 제조사입니다. 넘사벽이라고 할 정도로 경쟁 회사가 잘 안 보일 정도입니다. 이 DJI는 드론과 함께 짐벌 기술력이 뛰어나서 드론과 짐벌로 유명합니다. 이 DJI가 초소형 드론 시리즈의 신제품을 발표했네요 소형 드론 DJI 미니4 프로 출시 DJI 미니4 Pro는 중량이 249g에  4k 60fps 촬영이 가능한 소형드론입니다.  카메라 센서 사이즈는 1/1.3인치로 유효화소수는 4800만 화소로 35mm 환산 화각은 24mm로 광각 렌즈가 달려 있습니다. 카메라에는 3축 짐벌이 들어가 있고 90도 회전이 가능해서 세로 모드 동영상 촬영도 가능합니다.  인텔리전트 플라이트 배터리를 장착하면 최대 34분간 비행이 가능하고 별도로 판매하는 인텔리전트 플라이트 배터리 플러스를 장착하면 최대 45분 정도 비행이 가능합니다.  DJI Mini4 Pro는 DJI O4 영상 전송 기술이 탑재되어 있어서 최대 20km 떨어진 곳에서도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조정이 가능합니다. 20km면 정말 엄청난 거리네요. 여기에 미니 시리즈 최초로 전방향 장애물 검출 기술이 들어가서 장애물 회피 기능이 좀 더 좋아졌습니다.  가격은 DJI 미니4 프로에 DJI RC-N2 원격 콘트롤러 포함 93만원이고 DJI RC2 포함하면 107만원입니다. 초보킷인 플라이 모어 콤보는 129만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 한쪽 배터리 광탈 문제 평생 무상 교체 가능

이미지
소니의 완전 무선 이어폰 WF-1000XM4는 20만원 대의 고가의 무선 이어폰입니다. 비싸도 소니라서 성능은 아주 좋습니다. 고성능 노이즈 캔슬링과 외부음 녹화 기능도 있습니다. 다만 소니 제품 답게 소니 타이머가 작동해서 a/s 1년 무상 기간이 지나면 잘 고장납니다.  이 유명한 소니 타이머 때문에 전 소니 제품 앞으로도 살 생각이 없습니다.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 한쪽 배터리 광탈 문제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은 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른 무선 이어폰에서도 나오는 증상입니다만 한쪽 이어폰 배터리가 광탈을 한다는 겁니다. 문제는 이 문제가 A/S 무상 1년이 지난 후에 발생하면 보통 어떻게 하세요. 잘못 뽑았다며 유상 A/S를 맡기거나 다른 이어폰으로 갈아타죠.  그러나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은 제품 자체에 배터리 결함이 있습니다. 왼쪽과 오른쪽 배터리 잔량이 극단적으로 다른 경우가 자주 많이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그래도 안 되면 그냥 가까운 소니 센터에 제품을 맡기세요.  그러면 1대 1 무상 교환을 해줍니다. 이는 소니가 인정한 내용이기에 리콜 제품입니다. 1년이 지나도 2년이 지나도 상관 없습니다. 그냥 교환을 해줍니다. 제품 하자니까요. 단 무조건 해주는 건 아니고 조건이 있습니다.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 배터리 교체 조건 Headphones Connect를 시작하고 스마트폰 등과 Bluetooth 연결 Headphones Connect에서 다음 조건 설정 볼륨: 중앙값 코덱: AAC* DSEE Extreme: OFF 노이즈 캔슬링 : ON 기타 기능: OFF * 재생할 음악에 따라 다릅니다.  Headphones Connect의 상단 화면에서 재생 중인 음악의 코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헤드폰을 완전 충전 스마트폰 등 음악을 재생하여 3시간 이상 헤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이렇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켜고 3시간 이상 사용 가능하면 교

삼성정신승리전자가 된 삼성전자 문제는 고위 임원진들 정신승리

이미지
삼성전자의 화려한 전성기는 미래가 아닌 과거였습니다. 정확하게 2010년 전후의 IT 품이 불던 그 시기였죠. 삼성전자의 매출을 올리는 양대축을 넘어서 3대축을 구가하던 시기였습니다. 그시절 삼성전자는  1. 메모리, SSD 반도체 2. 갤럭시 S의 스마트폰 3. TV를 포함 가전 그러나 2023년 지금은 어떨까요. 2023년 메모리 반도체 매출 하락을 넘어서 천문학적인  적자 전환에 가려서 그렇지 삼성전자 가전 부문도 매출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2023년 1분기 가전 매출은 6조 6500억 원이지만 2022년 1분기 6조 7200억 원에 비하면 1.5% 감소했습니다.  LG전자 가전에 발리고 있는 삼성전자 가전은 LG라는 말이 있듯이 이제는 삼성전자 가전을 사는 것은 시대에 떨어진 사람이라는 인식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가전이 인기가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신제품도 없고 LG전자가 먼저 시도한 걸 그대로 따라하는 가오가 없는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 비스포크 같은 경우도 LG전자 오브제를 따라한 느낌이고 스타일러 같은 옷 건조대도 따라만들고 있죠. 이보다 더 중요한 건 고장률입니다.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삼성전자는 신뢰성 평가에서 무려 20위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러니 장사가 안되죠. LG전자는 가전 사업부는 지난 2023년 1분기 영업이익이 1조 4974억원이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1,900억원으로 7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이래서 가전은 LG라고 하나 봅니다. 실제로 제가 사용하던 1997년 이사오면서 산 세탁기가 너무 사망을 안 해서 2020년 강제 교체를 했습니다.  LG전자가 사업을 접은 스마트폰 시장도 위태로운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부도 문제입니다. 삼성전자는 가전 부분과 스마트폰 사업부를 통합한 MX 사업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사업부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감추기 위함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좀 드네요.  2023년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영업 이익은 130억 달러로 이중 애플 아이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