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8, 2023의 게시물 표시

SoC 시장에서 밀려서인지 퀄컴이 전체 직원의 2.5%인 1200명 이상 해고

이미지
어제 애플스토어 명동에 갔다가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깜짝 놀라서 물어봤더니 애플 아이폰15가 공식 출시하는 날이라서 사람이 많다고 해요. 디자인이나 전체적인 성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는데 엄청난 인기에 애플 아이폰의 인기를 실감했네요. 특히 10,20대들에게 있어 아이폰은 필수품이 되고 있다고 하죠.  10,20대들은 아이폰 안 쓰면 왕따 시킨다고 할 정도입니다.  안드로이드폰 인기 하락의 큰 원인 퀄컴의 성능 떨어지는 SoC  안드로이드폰의 인기 하락 원인은 크게 구글과 퀄컴에게 있습니다. 먼저 구글이 문제입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파편화가 아주 심합니다. 애플 아이폰은 최신폰과 최근 5년 안에 나온 폰들은 한 번에 iOS를 모두 업데이트를 해주어서 모든 폰들이 새로운 운영체제의 편리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만 안드로이드는 이걸 못합니다. 구글이 새로운 안드로이드 O/S를 내놓아도 삼성이나 샤오미나 각종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들이 구형폰이나 저가폰은 새로운 O/S 업데이트를 지원 안 하거나 해줘도 느리고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제조사마다 UI/UX가 다른 점도 문제입니다.  이렇게 같은 안드로이폰이라고 해도 누군 안드로이드13 누군 10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SoC라고 하는 시스템 온 칩 문제입니다. 보통 AP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요즘은 SoC 칩에 AP, 모뎀 등등 각종 칩이 다 들어갑니다. 따라서 SoC 칩 성능이 스마트폰의 성능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최근 퀄컴의 스냅드래곤 SoC 성능이 아이폰 A 바이오닉 시리즈에 발리면서 성능면에서 안드로이드폰은 아이폰에 대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안 팔리기 시작했죠. 삼성전자는 더 큰 문제입니다. 자체 제작 SoC인 엑시노스 시리즈가 발열과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 때문에 갤럭시 S 시리즈에 퀄컴 SoC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퀄컴 SoC 성능 문제로 인해서 안드로이드폰은 중저가폰에서만 잘 팔리지 플래그십 시장에서는 애플 아이폰이 싹쓸이 하고 있습니다. 

30% 작아진 새로운 PS5 출시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도 착탈 가능

이미지
한 때는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과 MS사의 엑스박스라는 게임기가 경쟁을 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엑스박스는 신제품이 나오는지 모를 정도로 인기가 줄어들고 있네요. 엑스박스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로 쪽으로 전환하는 것 같더라고요.  반면 플레이스테이션(PS)는 꾸준히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크기를 30% 줄인 새로운 PS5 출시  플레이스테이션이 공식적으로 PS5의 새로운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 제품보다 30%나 작아진 제품입니다. 또한 울트라 HD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착탁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본체 내장 SSD는 1TB로 증량했습니다.  디자인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2개가 나온 이유는 하나는 디스크 드라이브 탑재 모델이고 또 하나는 디지털 에디션으로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위 사진 왼쪽 모델은 오른쪽 하단에 디스크 드라이브 투입구가 있습니다. 디스크 드라이브 모델이 18%, 디지털 에디션 모델이 24% 경량화된 모델입니다. 또한 본체 커버가 좌우 2장의 패널이었던 것이 좌우 합계 4장의 패널로 분할되어 있습니다.  상부는 광택감이 있는 질감의 파츠로 하부는 이전 제품처럼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디지털 에디션의 경우 별매의 울트라 HD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입하면 나중에 디스크 드라이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위와같이 착탈이 가능합니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가격이 1만 1980엔으로 약 10만원이 넘네요.  수평 배치옹 부속도 함께 제공합니다.  세로로 세워두기 위한 스탠드도 판매하는데 3980엔입니다. 저거 하나에 3만원이 넘는다고요. 정말 가격의 소니네요. 새로운 PS5의 스펙 ◆통상 모델(Ultra HD Blu-ray 디스크 드라이브 탑재판) 외형 치수(최대 돌기부 제외한다):  약 358 mm×96 mm×216 mm(폭×높이×길이) 질량:  약 3.2 kg CPU:  x86-64-AMD Ryzen “Zen 2”(8코어/16스레드), 최대 3.5GHz까지 가변 GPU:  AMD Ra

삼성전자 갤럭시 S23 FE, 갤럭시탭 S9 FE, 갤럭시 버즈 FE 출시

이미지
삼성전자의 갤럭시S는 아이폰 시리즈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발리고 있죠. 판매량에서 비교 상대가 안될 정도입니다. 특히나 갤럭시S는 국내에서만 잘 팔리는 폰이고 중국, 일본에서는 큰 인기가 없습니다.  국내에서도 40대 이상 분들이 쓰는 아재폰으로 전락한 상태죠. 어제 뉴스를 보니 성시경이 자긴 아이폰도 써보고 갤럭시도 써봤지만 갤럭시가 좋아서 쓰는 데 20대 여자 후배가 갤레기 쓴다고 하는 말에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요즘 20대들에게는 갤럭시를 갤레기라고 하나 보네요.  20대들의 마음을 홀린 아이폰, 아이폰이 잘 나가는 이유는 가격은 비싸지만 뛰어난 성능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이게 다 AP 성능 차이 때문이죠.  이래저래 삼성폰은 굴욕이네요. 그런데 삼성전자도 참 문제가 많습니다. 삼성전자는 해외에서 판매하고 있는 중저가 라인을 한국에서는 판매하고 있지 않고 판매해도 좀 더 비싸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A 시리즈와 좀 더 저렴한 M 시리즈와 초저가 시리즈 F 시리즈까지 선보이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꼴랑  A 시리즈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즉 초저가폰 시리즈는 한국에서는 아예 판매를 안 하고 있습니다. 판매 안 해도 어차피 삼성폰 살 수 밖에 없는 걸 잘 알기 때문이죠. 한국 사람들이 그렇다고 중국 샤오미폰 같은 걸 사지는 않잖아요. 이러다 보니 삼성전자는 한국 소비자를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여기에 또 가지고 노는 걸 하나 더 소개하겠습니다. 바로 삼성전자 갤럭시 S23 FE라는 보급형 갤럭시 S 시리즈를 한국에서는 출시를 안 할 듯 하네요.  삼성전자 갤럭시 S23 FE 해외에서만 출시 삼성전자는 갤럭시S 시리즈 출시 후에 갤럭시S FE 시리즈를 선보였으나 지난 2년 동안은 선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갤럭시S FE 시리즈인 갤럭시S23 FE를 출시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출시 한다는 소리가 없는데 아마도 안 할 듯 합니다.  삼성은 2022년 1월에 갤럭시S21 FE를 마지막으로 FE라인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이 FE 시리즈는 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