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9, 2023의 게시물 표시

구글 블로그에 업로드한 사진 삭제하는 방법

이미지
 이게 블로그 서비스인지 의문이 들 정도로 아주 저질 서비스가 구글 블로그입니다. 블로그스팟이라고도 하는 이 서비스는 구글이 인수해서 서비스를 하지만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하다가 구글 블로그 오면 너무 불편하고 짜증나서 한동안 한숨만 쉴 겁니다. 정말 이렇게 저질 서비스를 운영하는 자체고 놀랍지만 구글은 구글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은 마음이 없는지 최신 공지가 2020년에서 멈췄습니다.  구글도 외면하고 있는 듯한 구글 블로그 서비스 구글 블로그 기본 스킨을 사용하고 있는데 애드센스 프로그램 정책 위반이라는 경고가 떴습니다. 12월 1일까지 수정 안 하면 광고 안 나온다는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아니 구글 서비스인데 경고를?  이유를 보니 '의도하지 않은 클릭 유도 : 레이아웃'이라는 말에 애드센스 광고와 글 간격이 넓지 않아서 그런가 보다 하고 살펴봤습니다. 자동광고를 넣었지만 유일하게 포스트 상단 글 제목 하단에 넣은 수동 광고가 문제인 듯 합니다. 그거 다 지웠습니다.  그런데 이상했습니다. 아니 티스토리는 무려 2개의 포스트 제목 밑 상단 광고를 2개씩이나 붙이는데도 정책위반이 아니라면서 1개 넣은 건 정책 위반이라고 하네요. 사실 이 구글 코리아의 운영이 이해 안 가는 경우가 참 많죠. 예를 들어서 티스토리 자체광고 같은 경우 애드센스 광고 허락인 애드센스 고시 통과도 안 한 초보 티스토리 블로그에도 애드센스 광고가 노출됩니다. 이러면 안 되거든요. 아무 블로그나 애드센스 광고 나오는 게 아닌 구글이 스팸 블로그가 아니라고 판단한 블로그에만 애드센스 광고를 허락합니다.  안 그러면 스팸 블로그를 양산하니까요. 그런데 아무 티스토리 블로그나 애드센스 광고를 노출한다? 스스로 정책 위반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도 안 되어 있는 구글 블로그 사진 업로드 시스템 구글 블로그로 사진 블로그나 사진 많이 올리는 여행 블로그나 요리 및 맛집 블로그 절대로 절대로 하지 마세요. 사진 많이 올릴수록 혈압이 올라서 쓰러질 수 있습니다. 먼저

구글이 수익을 얻는 개꿀 검색 키워드 TOP 20이 공개되다

이미지
 이 블로그에도 붙어 있지만 구글 애드센스는 수많은 블로거들을 먹여 살리는 수익 창출 도구입니다. 그런데 하루 방문자 수는 비슷한데 어떤 블로그는 수익이 엄청 높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그건 1클릭당 광고 단가가 아주 쎈 광고를 유치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검색해서 찾는 키워드라고 해도 광고 단가가 낮은 키워드가 있고 어떤 키워드는 광고 1클릭이 5천원에서 1만원이나 하는 키워드도 있습니다. 따라서 광고 수익이 목적인 블로거들은 고단가 키워드를 잡기 위해서 관련 글을 줄기차게 씁니다.  예를 들어서 영화 리뷰나 흔한 일상 키워드는 광고 단가가 낮습니다. 그러나 법률 조언인 법무법인, 세무사, 특히 보험 이쪽은 1클릭당 광고 단가가 아주 쎕니다. 이는 구글 애드워즈 들어가 보면 압니다.  따라서 키워드마다 돈 되는 키워드가 있고 돈 안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그럼 돈 되는 키워드는 뭐까요? 구글의 검색시장 독점금지법 재판에서 공개된 구글의 고수익 검색 키워드 TOP20 구글은 현재 한국 및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전 세계 인터넷 검색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거의 독과점 수준이죠. 특히 유럽은 이렇다 할 검색 엔진이 없어서 구글이 지배하고 있고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독과점을 아주 극혐합니다.  이에 검색 시장 독과점 재판이 2023년 9월도 재판이 시작되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구글 정보가 나오고 있네요. 예를 들어서 애플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구글을 기본 설정해 주는 조건으로 매년 30조 원이라는 돈을 구글이 애플에 내고 있다고 하죠. 엄청난 액수입니다.  그리고    https://www.justice.gov/d9/2023-10/417395.pdf   에 흥미로운 내용들이 올라오고 있네요. 위 자료는 짧은 보고서인데 아주 알찬 내용이 있네요.  검색과 YouTube에서의 광고수익 개요 라는 문서입니다.  위 그래프는 구글의 웹사이트인 Google.com의 매출 성장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그래프의 x축은 연도, y축은 매출

활력이 떨어진 2023년 한국 전자전이 점점 재미없는 이유 4가지

이미지
전시회 시대가 끝나는 것일까요? 여러 전시회를 찾아가서 세상 다양한 기술과 제품과 서비스를 만나보고 체험하는 것이 참 즐겁습니다. 특히 기술 발전 속도가 엄청나게 빠른 IT쪽 신기술은 놀랍기만 합니다. 공부 안 하면 언제 새로운 기술이 나온지도 모를 정도로 수 없는 기술들을 선보입니다.  활력이 크게 떨어진 2023년 한국 전자전 요즘 전시회를 가면 그 분위기가 예전 같지 않습니다. 대형 전시회에 대한 참가비가 비싸서 그런건지 전시회를 해도 홍보 효과가 떨어져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참가들을 안 합니다. 저 같은 블로거들이 최신 기술이나 흥미로운 제품을 소개하지만 대부분 눈으로 보고 오죠. 사실 저 같은 일반인들보다 학생들보다 업계 관계자나 바이어들이 더 많이 오길 바라지만 둘러보면 그 마저도 예전 같은 활력이 없습니다.  지난 주에 끝난 한국이 최대 IT 전시회인 한국전자전(KES)를 보면서 화무십일홍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2010년 경 고양시 킨텍스라는 거대한 전시장에서 전시를 하던 그 한국전자전의 우람함에 깜짝 놀랐습니다. 당시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자회사인 삼성전자, LG전자는 물론 삼성전기와 LG 이노텍 같은 스마트폰 부품 회사들도 대거 참여했었습니다. 당시의 규모가 그립네요.  그러나 수년 전부터 코엑스에서 개최하면서 규모가 확 줄었습니다. 그리고 활력도 확 줄었습니다. 작년보다 올해 더 썰렁했는데 보통 전시회 마지막 날이면 가장 북적여야 함에도 금요일 전시회 마지막 날에 가보니 사람들이 많지가 않네요.  몇몇 공간은 안내하는 사람도 전시회 구경하는 사람도 없는 잉여공간으로 활용되는 느낌이었습니다.  나름 여러 공간을 만들어서 미래 선도 전자기술을 체험하고 안내하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활력이 너무 떨어지네요.  너무 재미가 없어진 한국전자전과 그 4가지 이유 1. 참가 대기업들의 너무 무성의한 전시부스가 늘어나고 있다 KT 부스에 가서 깜짝 놀랐습니다. 전시서비스도 기업용 서비스를 전시하는데 그 마저도 보는 사람이 없어서 로봇이 혼자 돌아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침범한 쓰지도 않은 쓰레기 SNS 쓰레드

이미지
10월 25일 마크 저커버그는 3분기 결산 설명회에서 트위터의 라이벌 서비스인 쓰레드(Threads)의 월간 유저수가 1억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출시 3개월만에 올린 엄청난 기록이죠. 물론 저도 궁금해서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하루 만에 지웠습니다.  1달 만에 82% 유저가 이탈한 쓰레드 쓰레드를 지운 이유는 간단합니다. 트위터와 너무 비슷하고 쓰레기 같은 글만 계속 올라와서 소음 덩어리 그 잡채라서 지웠습니다. 지우면서 계정 탈퇴를 하려고 했더니 안 됩니다. 계정 탈퇴가 안 되요. 탈퇴하려면 인스타 계정을 탈퇴해야 합니다.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쓰레드를 가입했는데 가입은 쉽게 하지만 탈퇴는 인스타그램을 탈퇴하지 않는 한 탈퇴가 안 됩니다. 이렇게 모은 쓰레드 회원수가 1억명이고 이중 저를 포함한 8천만 명은 1달 만에 쓰레드를 봉인 시켜버렸습니다. 현재는 하루 800만 명만 사용하고 체류 시간도 초기 19분에서 3분으로 확 줄었습니다. 사용하지도 않은 쓰레드가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나오다 페이스북은 조용해서 아직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차단도 쉽고 관리도 편리하고요. 그런데 이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쓰레드 글이 올라왔습니다. 아니 사용도 안 하는 쓰레드 글이 왜 올라오는 것일까요? 이건 마치 끼워팔기 같은 느낌까지 드네요. 이런 것이 처음은 아닙니다.  인스타그램의 릴스가 꾸준히 올라오기에 꾸준히 숨기기를 하지만 꾸준히 올라옵니다. 숨기기를 해도 바퀴벌레처럼 올라옵니다. 쓰지도 않는 스토리 기능도 없앨 수도 없습니다. 광고는 글 3개에 1개 나오고 쓸데 없는 기능은 삭제도 안 되고 참 갈수록 서비스가 개판이 되고 있는 페이스북입니다.  이렇게 페북 타임라인에 쓰레드 글이 올라오자 전 세계에서 페북의 쓰레드 글 올리는 정책에 분노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쓰레드 글을 페북 타임라인에 올리는 변화는 2023년 10월 중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문의를 했더니 메타는 그게 맞다고 인정해 줬습니다. 오류가 아닌 일부러 노출시키고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