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스테이블 디퓨전 유료 멤버십 제도 시작하지만 보이는 헛점들

 AI가 글도 써주고 그림도 그려주고 작곡도 해주고 코딩도 해주고 그걸 다 공짜로 해주니까 아주 좋았죠. 그런데 AI에게 명령할 때마다 비용이 엄청 들어갑니다. 수많은 서버가 그 명령을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전기도 오지게 먹고요. 그런데 공짜인 이유는 이 시장을 점령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렇게 사람들에게 사용하게 한 후 익숙하게 만든 후에 돈을 받으면 됩니다. 

대부분의 온라인 사업이 이런 식으로 수익 모델을 만듭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유료 멤버십 제도 시작

스테이블 디퓨전

이미지 생성 AI로 가장 유명한 곳이 오픈AI의 달리, 독일 스테이블 디퓨전 그리고 미드저니가 있고 한국은 카카오의 칼로가 있습니다. 칼로도 꽤 좋긴 한데 잘 알려지지 않았고 앞으로도 별 성과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중 스테이블 디퓨전을 이용한 놀라운 이미지와 사진급 묘사력에 깜짝 놀라게 됩니다. 그런데 이 스테이블 디퓨전을 개발하는 스테이블 AI가 예상대로 상업화를 선언했네요. 그렇다고 전부 유료화가 아닌 챗GPT처럼 무료 사용도 가능하지만 좀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하고 싶으면 유료 결제를 하고 멤버십을 유지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보면 먼저 개인 이용, 연구 목적 이용 등은 무료입니다. 그러나  프로페셔널 구독 시스템은 스테이블 디퓨전을 이용해서 연간 매출 100만 달러 즉 한화로 13억 미만, 기관 투자가 자금 100만 달러 미만, 액티브 유저 100만 명 미만의 크리에이터는 월 20달러를 내고 사용해야 합니다. 

프로페셔널 구독보다 상위인 엔터프라이즈는 보다 높은 구독료를 내야 하네요. 한달 20달러? 돈 많이 버는 유튜버들에게는 껌값이지만 한달 10달러도 못 버는 유튜버들에게는 큰 돈이고 아예 사용을 하지 못하겠네요.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면 SDXL(Stable Diffusion XL) Turbo , Stable Video Diffusion , 대규모 언어 모델인 " Stable LM Zephyr 3B " 등 새로운 AI 모델에 대한 조기 사용을 제공합니다. 

스테이블 AI사는 이런 유료 구독으로 받는 돈은 미래 연구 및 핵심 모델 개발에 사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의문이 듭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생성한 이미지를 유튜브에 올렸는데 이걸 상업용 이용인지 비상업용 이용인지 구분하기 쉽지 않죠. 그 전에 그게 스테이블 디뷰전에서 만든 이미지인지 어떻게 추적합니다. 블로그에 올리면 이미지에 추적 코드라도 넣지 영상 모든 장면을 다 살펴봐야 하는데 어떻게 추적을 해요. 워터마크를 넣는다고요? 그거 지우는 AI도 많아요. 

또한 상업용인지 비상업용인지 구분하기도 쉽지 않고요. 따라서 헛점이 많습니다. 누구는 돈 내고 쓰고 누구는 돈 안 내고 쓰는 것을 구분하는 유료 시스템 전에 단속 기술을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아니면 그냥 몽땅 유료화 하면 됩니다. 그럼 쉽죠. 그러나 그렇게 하면 빙 검색이나 미드저니 같은 다른 대안 서비스로 이동할 게 뻔합니다. 따라서 어설픈 유료화라는 소리가 많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35mm 필름 1장에 2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코닥 Ektar H35N 하프 프레임 필름 카메라

삼양렌즈 유일한 AS센터 남대문 삼정사 방문기

소니 무선 이어폰 WF-1000XM4 한쪽 배터리 광탈 문제 평생 무상 교체 가능